Ⅰ. 서울 도시공간의 기록 1. 서울 도시공간에 대한 기본시각 2. 서울 도시공간기록화, 무엇을 왜 3. 서울 도시공간기록화, 정체성과 차별성 4. 서울 도시공간기록화 전체 구조 속의 서북권역 Ⅱ. 서북권역 도시공간 형성의 구조 1. 지형공간구조 2. 옛 마을공간 3. 서울 도시공간 확장의 4시간 층위들 4. 주요간선도로 5. 개발의 단위들 Ⅲ. 서북권역 도시형태분석 1. 도시형태분석도 2. 도시형태분석도 확대부분도 3. 74개 도시공간들 4. 영역별 상세도 1. 현장조사 자료집 읽기 2. 상세조사분석도 A. 은평구 B. 마포구 C. 서대문구
산과 구릉 서북권역은 한북산맥의 서쪽 변두리에 위치한 북한산에서 갈라진 높고 낮은 산들이 남쪽의 한강연안까지 뻗어나가며 다양한 땅의 굴곡을 만든다. 북한산 줄기는 서남으로 뻗어 인왕산과 안산을 만들어내는데, 여기서 안산은 다시 다섯 갈래로 갈라지고 백련산 줄기와 이말산 ~ 반홍산줄기까지 총 일곱개의 산줄기로 구성되어있다. 물길 서북권역의 대표적 하천으로 홍제천과 불광천이 있고, 그밖에 상당 부분 복개되어 사라졌거나 일부 구간만 남은 만초천, 마포강, 봉원천, 녹번천이 있다. 천은 기본적으로 지형이 만들어내는 공간 중 가장 낮은 부분을 흐른다. 따라서 천을 중심으로 평탄지가 형성되며, 주로 그 주변부를 기점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간다 서북권역 조사구역별 특징 서북권역은 그 조직유형별 특징에 따라 크게 13개의 항목으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부터 유지되어왔을 옛길과, 옛 도시조직은 주로 서대문-서소문 밖 아현·대현 일대, 남대문밖 만리재 일대, 한강변 경강포구가 있던 마포· 서강 일대를 비롯하여 합정리, 성산리, 수색리, 응암리 등 고양군 연희면 과 용강면, 은평면, 신도면의 크고 작은 경기도 농촌마을들이 있었다. 현재는 은평구와 종로구의 산자락에 부분적으로나마 옛 구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미근동과 북아현동에서 옛 골목과 조직이 일부 남아있는 상태다. 주로 평지를 중심으로 외곽의 대규모 시가지 개발 방식이었던 토지구획 정리사업은 1930년대 말 일제강점기의 대현지구에 속했던 아현, 북아 현동, 대흥동 일대에서 균질한 크기의 조직이 일부 남아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 토지구획정리사업은 한국전쟁 직후 도심에 집중되다가 1960년 대부터 다시 외곽을 중심으로 지구가 지정되었는데 당시 마포 너머 서교 와 홍제 너머 불광지구가 먼저 지정되고 이와 바로 면한 평지인 연희, 성산지구와 갈현지구가 지정되어 대규모 택지개발이 있었다. 이 지구들은 1960~1970년대 외곽의 신흥 주거지로써 1,2층의 정연한 고급 단독주택들이 조성되었으며 그 조직들은 현재 서교, 연남, 북가좌동, 갈현동, 대조 동 등지에서 유지되고 있다. 대한주택영단의 공영주택은 주로 서대문 밖 의주로를 따라 무악재 고개를 넘어 홍제, 홍은동 골짜기와 대조동, 갈현동 일대에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국민주택과 재건주택단지로 조성되었다. 특히 서북권역에서는 충정아파트, 수색아파트, 서서울아파트, 홍제아파트와 지금은 사라진 개명 아파트, 마포아파트 등을 비롯한 공영아파트와 다양한 형태의 주상복합의 전신인 상가아파트의 연대기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그밖에 홍제·홍은동 골짜기와 한강으로 흐르는 불광천, 홍제천의 지류, 또 서북권역 곳곳에 솟아있는 구릉과 산자락에는 무허가 주거지로 형성 된 주거지와 그 조직이 여전히 남아있으며 대표적으로 현저동과 홍제동 개미마을이 있다. 또 서북권역에서는 1958년 응암동 프로젝트로 첫 수재민 정착지가 계획 되고 조성되기도 하였다. 그 외에 남가좌동, 북가좌동, 응암동, 수색 일대를 중심으로 수재민 정착지 등이 집중적으로 지정되어 정착지를 기점으로 시가화되기 시작했고, 상암동과 도화동 일대에 1950년대 말 조성된 50가구 규모의 소규모 전재민을 위한 난민정착지의 흔적이 남아있다. 서북권에는 수색역 앞 철도관사(재개발), 상암동 육군관사(재개발로 철거될 당시 2동을 보존하고 이축)와 모래내시장, 대조시장, 9·10호 연립주택, P.C 주택 등 독특한 지형적 특성과 지역성이 반영된 다양한 조직이 분포하고 있다. 유형별 01. 옛길, 옛 도시조직 한양도성 서대문-서소문밖 아현, 대현일대 한양도성 남대문밖 만리재 일대 경강포구 마포 서강 일대 역원 홍제원, 역촌동 경기도 농촌마을 _합정리, 성산리, 수색리, 응암리, 신사리, 증산리 02. 일제시대 교외주택지 1930년대 금화장 1930년대 연희장 03. 토지구획정리사업 1937-1964년 대현지구 1939-1965년 공덕지구 1965-1973년 성산지구 1967-1971년 연희지구 1967-1979년 역촌지구 1964-1969년 불광지구 1972-1975년 흥남지구 04. 관사 1930년대 상암동 일본육군 관사 1940년대 수색 철도관사 05. 국민주택 등 1962년 공덕동 국민주택 1962년 용강동 국민주택 1962년 서교동 국민주택 1954,55년 창천동 재건·희망주택 1957,58,60년 홍제동 부흥·국민·희망주택 (문화촌) 1963년 홍은동 국민주택 1959, 1963년 북가좌동 국민주택 1964년 남가좌동 국민주택 1964, 1965년 갈현동 국민주택 1957, 1958년 대조동 재건·국민주택 1956년 불광동 재건주택 1959, 1962, 1963년 불광동 국민주택 06. 일단의 주택지 조성사업 1973년 성산단지 1972년 홍제단지 07. 아파트 1932년 충정아파트 1965년 홍제아파트 1966년 좌원상가아파트 1968년 인왕아파트 1959년 개명아파트(철거) 1962, 1964년 마포아파트(철거) 1968년 수색아파트 1969년 유진맨숀상가아파트 1970년 서소문아파트 1970년 연남아파트 08. 도시한옥 영천동 북아현동 미근동 09. 무허가정착지 영천/ 현저동 홍제/ 홍은동 10. 기타 주거지 1959년 상암동 난민주택 1972년 신사동 이주정착지 (산새마을) ,마루보시주택 11. 주요장소 흔적 모화관-독립회관 일대 모래내 종점 12. 물길, 철길 흔적 위 도시조직 성산동 선형 도시조직 (홍제천 흔적) 서교365 (철길흔적) 13. 시장 영천시장 모래내시장 제일시장 (대조동 1961) 마포,공덕시장 영역별 (1) 서대문밖 영역 한양도성으로부터 전국을 잇는 도로의 길목으로 일찍이 시가화되어 다양한 시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 #천연동 #금화산 #만조천 #신촌 #아현동 (2) 공덕·마포 영역 조선시대 한양으로 들어오는 배들의 최종 정착지 중의 하나이며 물길이 모이는 곳으로 물자와 사람의 왕래가 비번하던 지역 #광흥창 #만리재 (3) 홍제천변 홍제·홍은 영역 안산과 인왕산 사이의 의주로에서 무악재 너머 북한산 자락으로 평탄하지 않은 지역이지만 도심과 가까워 각종 주택단지들이 건설 #주택단지 #아파트 (4) 수색역 일대 영역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의 정착역 #철도관사 #육군관사 #이주정착지 (5) 모래내 일대 영역 홍제천 하류에 모래가 쌓이는 곳이었으며 서울 외곽의 큰 규모의 시장이 자리잡음 #모래내시장 #복개 #성산동 #연희동 (6) 응암·신사 영역 58년 수해로 수재민이 집단 이주 #불광천 #역촌동 #이주정착지 (7) 불광·갈현 영역 불광천과 녹번천이 합류하기 이전의 지역으로 60년대에 공영주택단지 건설과 함께 본격 시가지화 #갈현동 #불광동 #주택단지 보고서 원본 파일을 보고 싶으신 분은 다음 연락처로 문의주십시요. 02-739- 2900, sca2022@seoul.go.kr 다음을 링크하시면 압축화일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 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