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서울도시건축센터

전체메뉴펼치기
공지사항을 작성자, 제목, 작성일, 파일 로 구분한 표
작성자 scaadmin
제목 [도시기록]서울시 도시공간기록화사업 동북권 시범사업 및 가이드라인 보고서
작성일 2021-09-02
파일

서울시 권역별 도시기록화 사업이란?

보고서
 

동북4구

현장조사
 

 

 

서울 도시공간 기록화는 전체 구조의 이해를 바탕에 두고 개별 대상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부분의 개별적 특성을 무시한채 전체적 성격만을 주장하거나 전체적 구조와 맥락에 대한 이해가 없이 사례들을 개별적인 존재로만 바라보고 판단하는 것을 경계합니다.

 

서울 도시공간을 시가지가 형성된 균질한 공간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원지형 공간이 이미 가지고 있는 시민들의 삶이 형성해가는 시가지를 담아낼 수 있는 공간들의 단위들과 그 단위들의 연결관계를 파악하고, 실제 시역이 확대되고 행정구역 체계가 확립되어가는 과정 즉, 인구의 증가와 서울시민들의 삶의 영역이 확장되어 가는 과정, 그리고 그 확장되는 서울시민들의 삶의 공간 – 시가지가 어떤 방법으로 그래서 어떤 형태로 개발・형성되었는가의 전체상을 파악하고 그 구체적 사항들을 정리합니다. 

 

이러한 서울 도시공간 형성과 변화 구조 분석을 통하여 조사권역을 설정하고 단계별로 진행될 각 조사권역 조사를 위한 도시공간 이해의 공통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서울 도시공간 형성의 공간기반: 지형공간과 시가지 형성 이전의 옛길 및 마을 공간

 

 - 서울시민의 증가와 서울도시공간의 확대

 

 - 서울 도시공간 형성⬝변화 공간 단위 + 조직 단위

 

○ 도시공간의 시간적 변화 및 지역 형성을 파악하기 위한 ‘도시형태 분석’

 - 지적원도를 통한 옛길과 옛물길을 복원하여 도시공간의 원형 확인

 - 대단위 개발 사업 분석을 통한 도시공간의 형성시기 및 도시조직 확인

 - 원도시조직과 현도시조직을 비교하여 잔존하는 중요 도시조직 확인

 

 

○ 지역적 정체성 및 장소성이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에 대한 ‘심화조사’ 실시

 - 도시형태 분석을 통한 심화조사 대상지 선정(ex. 2020년 동북권 15개소 조사)

 - 대상지역에 대한 내외부 공간의 구성, 형태, 규모 등 세부사항 기록

 - 평면실측, 사진촬영, 3D스캔, 인터뷰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한 자료 생성

 

도시공간기록화사업의 첫번째인 서울의 동북권 (동북 4구)의 조사대상 목록화 및 시범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기록의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습니다.

추후 서울의 다른 지역들도 연차별로 도시기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서울시 외에 다른 지자체에서도 도시 건축 기록을 하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보고서를 공개합니다. 

 

서울도시건축센터 3층 아카이브실에서 보고서 직접 열람가능합니다. 

 

3권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 도시공간기록화사업 조사대상 목록화 가이드라인 제작 및 시범조사 , I 본보고서 / 동네연구소 (2020.11)

 

I. 서울도시공간기록화, 무엇을 왜하나

01 서울도시공간 들여다보기

02 무엇을 왜

03 도시공간 기록화사업의 정체성

04 현재까지 서울도시조사 작업들

II. 서울도시공간기록화, 어떻게하나

01 작업의 전체구조

02 서울도시공간 형성 · 변화구조분석

03 시범조사권역 도시공간 · 도시형태분석

04 시범조사권역 조사구역·상세조사구역·심화조사구역 조 사

05 서울도시공간기록화 가이드라인

III. 서울도시공간 형성과 변화구조 이해하기

01 원지형공간, 서울도시공간의 공간적 기반

02 서울도시공간 확장의 과정, 시가지형성의 연대기

03 서울도시공간 형성, 개발의 방법들

04 서울 시민의 삶이 만들어온 서울도시공간

IV. 서울도시공간 _ 동북권역

01 동북권역 훑어보기

02 성북구

03 강북구

04 도봉구

05 노원구

V. 서울도시공간_동북권역 15개 시간의 층위들

01 조선시대 이래 농촌마을의 자취, 도봉구 도봉동 안골마을

02 1930~40년대, 성북천변 새 동네, 성북구 성북동 성북천변 도시한옥 골목

03 1940년대, 한양도성밖 무허가 정착지, 성북구 성북동 북정마을

04 1957년, 서울외곽의 첫 집단개발지, 강북구 삼양동 미아리 난민정착지

05 1950년대 서울 동북외곽 새동네, 공영주택단지들

(1) 1967년, 2층 2호 연립주택 _성북구 정릉동 부흥주택

(2) 1958년, 2층 4호 연립주택 _성북구 장위동 부흥주택

06 1965년, 미아리고개 위 영단아파트, 성북구 돈암1동 돈암아파트

07 1966~1967년, 서울 끝자락의 이주정착지, 노원구 상계동 양지마을

08 1968년, 옥상 인공대지 위 연립주택, 성북구 하월곡동 숭곡시장 옥상마을

09 1969~1970년대 서울 동북권역 단독주택의 여러 모습들

(1) 1967년, 성북구 성북동 급경사지의 큰 도시한옥 골목

(2) 1966년, 강북구 송천동 ‘ㄱ’자집 골목

(3) 1970년, 강북구 송천동 초기 뾰족지붕 집 골목

(4) 1971년, 성북구 장위동 우이천변 골목

(5) 1973년, 강북구 송천동 집단개발된 단독주택 단지

(6) 1975년, 강북구 송중동 경사지 직선 230미터 2층집 골목

10 1979년, 2층 병렬배치 개별계단식 초기 연립주택 강북구 송중동 연립주택

11 산과 들과 물길과 마을이 도시가 되다

VI. 서울도시공간기록화 앞으로의 과제

01 조사범위의 확대

02 활용방안

 

 

서울 도시공간기록화사업 동북권 시범조사 , II 자료집 / 동네연구소 (2020.11)

 

I. 동북권역 도시공간 조사목록

01 조사방법 및 조사대상

02 조사대상의 특성

II. 동북권역 도시공간 조사

성북구

성북・성북_01: 무허가, 자생적 주거지

성북・성북_02: 북정마을

성북・성북_03: 무허가 주거지

성북・성북_04: 한성대입구역주변 1930 ~ 40년대 도시한옥 주거지

성북・삼선_01:  성신여대입구역 돈암제일시장주변

성북・삼선_02: 돈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도시한옥, 문화주택

성북・삼선_03:  한성대입구역 1930 ~40년대 도시한옥 주거지

성북・삼선_04: 낙산구간 성밖 구릉지 무허가주거지, 장수마을

성북・삼선_05: 1960년대 무허가주거지

성북・삼선_06: 낙산구간 성밖 구릉지 무허가주거지, 장수마을

성북・동선_01: 동소문로 고가인근 점성가촌

성북・동선_02: 돈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도시한옥

성북・동선_03: 무허가 주거지

성북・동선_04: 돈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1940년대 도시한옥주거지

성북・동선_05: 돈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공원, 1960년대 개발

성북・돈암1_01: 1965년 돈암아파트, 1950년대 중반 무허가주거지

성북・돈암2_01:  1960년대 중반 주거지

성북・돈암2_02: 흥천사 및 주변 무허가주거지

성북・안암_01: 개운사 및 주변 무허가주거지

성북・안암_02: 무허가주거지

성북・안암_03: 1954년 안암동 재건주택단지

성북・안암_04:  도시한옥주거지

성북・안암_05: 돈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경계 무허가주거지

성북・보문_01: 돈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1930~ 40년대 도시한옥주거지

성북・보문_02: 돈암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밖 무허가주거지

성북・정릉1_01: 1960년대 초 무허가주거지, 1967년 대형 도시한옥주거지, 1973~1974년 2층단독주택주거지

성북・정릉1_02: 1940년대 도시한옥주거지

성북・정릉1_03: 1954, 1955년 정릉 재건・희망주택단지

성북・정릉2_01: 1960년대 소규모 개발 주거지

성북・정릉2_02: 정릉시장주변

성북・정릉2_03: 1940~60년대 도시한옥주거지, 다양한 조직 혼재

성북・정릉2_04: 1960년대 중반 주거지

성북・정릉2_05: 1937, 1941년 도시한옥주거지

성북・정릉2_06: 1966, 1970년 주거지

성북・정릉3_02:  정릉천변 옛농촌마을의 흔적

성북・정릉3_03: 1957년 정릉 부흥・국민주택단지

성북・정릉3_04: 천변 무허가주택, 1969년 주택단지

성북・정릉3_05: 1959, 1963년 구릉지 주거지

성북・정릉3_06: 북악산 배밭골

성북・정릉4_01: 1977년 연립주택, 1960년대 후반 주거지

성북・정릉4_02: 무허가주거지(현지개량사업)

성북・정릉4_03: 1963년 택지개발, 정릉국민주택

성북・정릉4_04: 1939, 1940, 1943년, 1965년 도시한옥주거지

성북・길음1_01: 1963년 단층주택, 1966년 2층 단독주택주거지

성북・길음1_02: 1940년대 도시한옥주거지

성북・길음2_01: 1960년대 한옥주거지

성북・길음2_02: 1967년 대형 도시한옥주거지

성북・길음2_03: 1950년대후반 도시한옥주거지, 미아리 유흥업소

성북・길음2_04: 1940년대, 1950년대 중반 도시한옥주거지

성북・길음2_05: 1960년대 한옥, 무허가주거지

성북・종암_01: 1950~1960년대 주거지

성북・종암_02: 1963년 종암동 국민주택단지

성북・종암_03:  1965년 도시한옥주거지

성북・종암_04:  월곡천주변 무허가주거지

성북・종암_05: 1969년 2층 단독주택 주거지

성북・종암_06: 고려상가

성북・월곡1_01: 1968년 숭곡시장, 1960년대 주거지

성북・월곡1_02: 1950~1960년대 주거지

성북・월곡1_03: 천변 주거지

성북・월곡2_01: 1961년 단층주택, 1970년대 주거지

성북・월곡2_02: 1960년대 주거지

성북・월곡2_03: 1960년대 주거지

성북・월곡2_04: 1960년대 주거지

성북・월곡2_05: 삼태기마을, 1960년대 중반 주거지

성북・장위1_01: 1970년대 초 주거지

성북・장위1_02: 월곡산 북측 1960년대 주거지

성북・장위1_03: 1960년대 말 구릉지 주거지

성북・장위2_01: 1967, 1971년 주거지

성북・장위2_02: 김진흥가옥

성북・장위2_03: 농촌마을의 흔적

성북・장위2_04: 1963,1964년 장위동 국민주택단지

성북・장위2_05: 1958년 장위동 재건주택단지

성북・장위2_06:  1973년 주거지

성북・장위2_07: 1962년 장위동 국민주택단지

성북・장위3_01: 1970년대 중반 주거지

성북・장위3_02: 1971년 우이천변 주거지

성북・장위3_03: 천변 무허가주거지

성북・석관_01: 1960년대 말 ~ 1970년대 초 주거지

성북・석관_02: 1960년대 중반 주택지

성북・석관_03: 1970년대 초반 주거지

강북구

강북・삼양_01: 무허가주거지

강북・삼양_02: 1957년 난민정착지

강북・삼양_03: 서울신문사 수재민주택

강북・삼양_04: 우진주택단지

강북・삼양_05:  송천주택단지

강북・송중_01: 1965년 2층 단독주택지

강북・송중_02: 미아사거리

강북・송중_03: 1974~1976년 경사지 주거지

강북・송천_01: 1967~1968년, 1970년 주거지

강북・송천_02:  1972~1973년 주거지

강북・송천_03:  1966년 주거지

강북・송천_04:  무허주거지

강북・수유1_01: 1963~1964년 국민주택단지

강북・수유1_02: 1960년대 말~ 1970년대 초 주거지

강북・수유1_03: 빨래골 주변

강북・수유1_04: 1966년대 주거지, 수유시장

강북・수유2_01: 1960~1961년 국민주택단지

강북・수유3_01: 1963년 국민주택단지

강북・우이_01:  천도교종학대학원 봉황각(1912)

강북・우이_02:  대동천 남(65년), 북(75년) 단층주거지

강북・우이_03:  1960년대 주거지

강북・우이_04:  1960년대 말 주거지

강북・인수_01:  1966년 아카데미 하우스(호텔)

강북・인수_02:  1967,1974, 1978, 1982년 연립주택

강북・인수_03:  1967,1974, 1978, 1982년 연립주택

강북・인수_04:  1967,1974, 1978, 1982년 연립주택

도봉구

도봉・창3_01: 창동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도봉・창3_02:  1974년 ~ 1975년 주거지

도봉・도봉1_01: 자연취락 안골마을

도봉・도봉1_02:  1980년대 초 취락구조개선사업지구

도봉・도봉1_03:  무수골계곡 주변주거지

도봉・도봉2_01: 도봉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1960년대 말~ 70년대 초 주거지

도봉・도봉2_02: 도봉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1960년대 말 주거지

도봉・쌍문1_01: 1960년대 말 ~ 1970년대 초 주거지

도봉・쌍문1_02: 1974년 ~ 1976년 집단 주거지개발

도봉・쌍문1_03: 우이천변 무허가주거지

도봉・쌍문2_01: 도봉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1970년대 주거지

도봉・쌍문2_02: 도봉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1970년대 집단 개발된 주거지

도봉・쌍문3_01:  1965년 쌍문동 국민주택단지

도봉・방학2_01:  1982년 ~ 1984년 집단개발된 주거지

노원구

노원・월계1_01: 1970년대 경사지 집단개발 주거지 (교사단지)

노원・월계1_02: 광운대학교 주변 경사지 주거지

노원・월계1_03: 우이천변 주거지

노원・월계2_01:  1970년대 중반 주거지, 1976년 2층 전철연립주택 + 단독주택

노원・공릉2_01:  1961년 서울여자대학교 사택

노원・공릉2_02:  경춘선 주변 주거지

노원・중계본_01:  정착지 백사마을

노원・중계4_01: 천변 무허가주거지

노원・상계2_01: 1970년대, 1982년 주거지

노원・상계34_01:  정착지 양지마을

노원・상계34_02:  정착지 희망촌

노원・상계34_03:  정착지 합동마을

노원・상계34_04:  정착지 당현천마을

노원・상계34_05:  상계시장주변

노원・상계5_01: 1960년대 말 주거지

 

서울 도시공간기록화사업, III 현장조사 가이드라인 / 동네연구소 (2020.11)


I. 서울도시공간 기록화 현장조사 가이드라인

01 관련자료조사 ・ 수집

(1) 도시공간 조사 시작하기

(2) 도시형태분석자료

시험조사 : 강북구 삼양동

(3) 인문조사자료

(4) 건물 및 토지정보

02 도시공간 현장조사 ・기록

(1) 사전조사

(2) 전수조사

(3) 심화조사

03 도시공간 현장영상자료 ・데이터구축

(1) 골목길의 3D스캔

(2) 단위건물의 3D스캔

(3) 3D스캔 데이터 처리과정

(4) 3D데이터 병합

(5) 이미지 후처리

(6) 동영상 후처리

(7) 3D스캔 데이터의 활용

04 관련 구술채록 ・인터뷰

(1) 인터뷰 진행 방식과 방향

(2) 인터뷰 진행 과정

(3) 자료화 및 분석 작업

부록 : 서울시소재 한옥 및 한옥주거지 조사사례

01 조사방법

02 조사사례